이란 지도부 "가해자 처벌하고 보복하겠다"
중동에 항모 재배치한 美…"대비 태세 구축"
對이란 관계 회복 공언한 바이든에도 악재
AP통신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암살 사건이 발생한 다음날인 28일(현지 시각) 성명을 내고 "이란 핵과 국방 분야에서 저명한 과학자가 잔혹한 용병의 손에 살해됐다"며 "가해자와 책임자들을 단호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순교자가 활동했던 모든 분야에서 과학과 기술적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도 했다.
지도부 차원의 보복 의사도 거듭 밝혔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같은 날 성명에서 "암살 행위가 이란의 과학적 발전을 막을 수 없다"며 가해자에 대한 보복성 처벌을 강조했다. 모하메드 바게리 이란 육군참모총장도 "이번 사건은 이란의 방산 산업에 대한 도전"이라며 "엄청난 복수가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만 두번째 암살에 '전쟁 공포' 커져…"바이든에도 악재"
일각에선 이번 사건이 올해 1월 '혁명수비대 사령관 암살사건'에 이어 이란의 대중적 분노를 촉발할 거란 우려도 나온다. 당시 가셈 솔레이마니 전 사령관이 미국의 공격으로 사망하자, 이란은 이라크 주둔 미 공군기지에 즉각 미사일을 발사했고 전쟁 발발 공포가 커졌다. 이란의 군사 공격은 테헤란을 중심으로 수만 명이 보복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인 직후 개시됐다.
1월에는 이란 군부가 추가 공격을 가하지 않아 상황이 정리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년 사이 두 명의 이란인이 사망한 만큼 중동지역 정세가 급격히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특히 이란 핵합의(JCOPA) 복원 등 미·이란 관계회복 의지를 밝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전부터 대형 악재를 만나게 됐다.
앞서 바이든 당선인은 내년 1월 취임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일방적으로 파기한 이란과의 핵합의를 복원하고, 외교적 루트를 통해 이란과의 갈등을 풀겠다고 여러차례 공언했다. 그러나 이란 내에서 당초 공식적으로 폐기한 핵 개발을 재개해야 한다는 강경론이 커질 경우 외교적 타결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사건이 이란과의 관계 회복을 막기 위한 의도로 계획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계기로 이란 내 핵개발 지지 여론이 힘을 얻을 수 있어서다. 실제 이란 국회의원 일부는 국제 핵 사찰단의 추방을 제안하기도 했다. 현재 미국과 이스라엘 정부는 공식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다만 NYT는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막기 위해 이스라엘은 무슨 일이라도 할 것"이라고 전했다.
◇ 이라크, 미·이란 공방 속 "또 전쟁터 될라" 안절부절
미국과 이란 분쟁이 격화되면서 이라크의 불안감도 한층 고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양국이 또다시 이라크 땅을 무대로 무력 공방을 벌일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아미르 하타미 이란 국방장관은 이날 현지 TV 방송에 출연해 "파크리자데 죽음은 가셈 솔레이마니 암살 사건과 분명한 연관이 있으며 미국도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UN(국제연합) 사무총장은 이날 파크리자데 암살과 관련해 긴장이 고조되지 않도록 각국이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나 마지드 타크트 라반치 UN 주재 이란대사는 구테흐스 사무총장에 서한을 보내 "이란은 자위적 목적의 어떠한 조치도 취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며 UN안전보장이사회 차원에서 암살을 저지른 자들을 비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란이 지난 2015년 미국·영국·프랑스·독일·중국·러시아 등과 체결한 '이란 핵합의'에서 약속했던 것보다 12배가 넘는 우라늄을 비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란이 우라늄 농축 농도를 계속 올려 핵 합의로 허용된 3.67%보다 높은 4.5%까지 끌어올렸다고 보고했다.
https://ift.tt/37iXkX5
세계
No comments:
Post a Comment